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1)
    • 근대 번역의 역사 - 일본 (0)
    • 근대 번역의 역사-중국 (3)
    • 동아시아 불경의 번역 수용 (33)
    • 번역 백년 (5)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근대 번역의 역사-중국

  • 중국 청대(淸代) 번역자와 번역 대상의 변천

    2022.05.11 by trans2be

  • 근대 중국과 일본의 번역 사업과 사상 수용- '자유'의 경우(上)

    2022.03.21 by trans2be

  • 근대 중국과 일본의 번역 사업과 사상 수용- '자유'의 경우(下)

    2022.03.20 by trans2be

중국 청대(淸代) 번역자와 번역 대상의 변천

원제: 中国清朝における翻訳者および翻訳対象の変遷 저자: 永田小絵(나가타 사에), 獨協大学 國際教養學部 言語文化學科 출처: 『通訳研究』 제6호, 日本通譯學會(JAIS), 2006, pp.207~224. 목 차 Ⅰ. 서언 Ⅱ. 중국 번역사 개요 Ⅲ. 청대 언어 환경 Ⅳ. 외국인 주도의 번역과 통역 Ⅴ. 선교사의 역할 Ⅵ. 청의 번역론 Ⅶ. 양무운동과 번역 · 통역 Ⅷ. 청말 학술 번역 Ⅸ. 결어 Ⅰ. 서언 중국 청조의 약 300년에 걸친 역사는 명조에 대한 이자성(李自成)의 반란을 외래 민족인 만주족(滿人)이 제압하고 권좌에 등극하는 극적인 전개 과정을 통해 막을 열었다. 만주족은 처음부터 한족과 융화를 꾀하여, 공문서를 만주·중국·몽골 문자로 작성하기 위해 번역국(飜譯局)을 설치하고 조정 내에서 국내 사무 ..

근대 번역의 역사-중국 2022. 5. 11. 19:08

근대 중국과 일본의 번역 사업과 사상 수용- '자유'의 경우(上)

저자: 왕 샤오위(王暁雨) 출처: 「東西學術硏究所紀要」, 제48집, 關西大學. 2015.4, pp.173~186.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번역어 '자유'와 메이지 초기의 계몽 사상가들 Ⅲ. 근대 중국의 지식인과 '자유'라는 번역어에 대한 논쟁 Ⅳ. 글을 마치며 Ⅰ. 들어가는 말 '자유(自由)'는 중국 고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말로 『후한서』, 『삼국지‧오주환(吳朱桓)』 등에서 그 용례를 볼 수 있다. 수당 시대에 들어 불교의 성행과 함께 ‘자유’는 빈번히 사용되는데, 인과(因果)에 따른 사생(死生)에 구애받지 않음을 가리키고 있다. 당송시대 시가(詩歌)에서 ‘자유’의 용례가 많아졌고 명청시대 이르러서는 민간 문학 작품에서도 ‘자유’의 모습이 자주 보인다. 후치주(胡其柱)의 「「자유(自由)」의 과..

근대 번역의 역사-중국 2022. 3. 21. 19:40

근대 중국과 일본의 번역 사업과 사상 수용- '자유'의 경우(下)

저자: 왕 샤오위(王暁雨) 출처: 「東西學術硏究所紀要」, 제48집, 關西大學. 2015.4, pp.173~186.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번역어 '자유'와 메이지 초기의 계몽 사상가들 Ⅲ. 근대 중국의 지식인과 '자유'라는 번역어에 대한 논쟁 Ⅳ. 글을 마치며 Ⅲ. 근대 중국의 지식인과 '자유'라는 번역어에 대한 논쟁 1. 내화(來華) 선교사와 '자유'라는 번역어 1808년 「학술 선교(學術宣敎)」를 제출한 모리슨(Morrison Robert, 중국 이름 馬礼遜, 1782~1834)은 향후 선교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화영 자전(華英字典)」 편찬에 착수했다. 이 사전은 속속 출간되어 7년이 지난 후 마침내 1823년에 완성되었다(전체 6권-역자 주). 이것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영중·중영 사전이었..

근대 번역의 역사-중국 2022. 3. 20. 20:2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trans2be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